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을사년(乙巳年) 십간과 십이지

by GRain1000 2025. 1. 1.
728x90
반응형

을사년(乙巳年)년 십간과 십이지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육십갑자(60년 주기) 중 하나입니다.

을사년은 을이라는 십간과 사라는 십이지를 결합한 것입니다.

십간(十干)

십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총 10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하늘의 에너지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십이지(十二支)

십이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총 12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물들로 상징됩니다. 이는 지구의 에너지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육십갑자(六十甲子)

육십갑자는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갑자년(甲子年), 을축년(乙丑年), 병인년(丙寅年)과 같은 식으로 십간의 첫 번째 요소인 갑과 십이지의 첫 번째 요소인 자가 결합하면 '갑자년'이 됩니다. 이 조합을 계속 반복하면 총 60가지의 조합이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60년 주기를 "육십갑자"라고 부릅니다.

한 번 육십갑자가 시작되면, 60년이 지나야 다시 같은 갑자가 돌아오게 됩니다. 즉, 을사년도 60년 후에야 다시 돌아오게 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 2025년: 을사년(乙巳年)
  • 2085년: 을사년(乙巳年)

이와 같이, 십간과 십이지를 통해 년도를 결정합니다.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십간은 하늘의 기운을 나타내는 10개의 요소로 구성
각각의 십간은 특정한 성질과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들은 서로 짝을 이루어 양과 음으로 나뉨 

  1. 갑(甲): 나무의 양(陽), 시작과 생성을 의미합니다.
  2. 을(乙): 나무의 음(陰), 성장과 발전을 의미합니다.
  3. 병(丙): 불의 양(陽), 밝고 따뜻한 성질을 의미합니다.
  4. 정(丁): 불의 음(陰), 부드럽고 은은한 성질을 의미합니다.
  5. 무(戊): 흙의 양(陽), 안정과 견고함을 의미합니다.
  6. 기(己): 흙의 음(陰), 부드러움과 생명력을 의미합니다.
  7. 경(庚): 금의 양(陽), 강하고 단단한 성질을 의미합니다.
  8. 신(辛): 금의 음(陰), 예리하고 섬세한 성질을 의미합니다.
  9. 임(壬): 물의 양(陽), 강하고 유동적인 성질을 의미합니다.
  10. 계(癸): 물의 음(陰), 부드럽고 생명력을 의미합니다.


십이지는 지구의 기운을 나타내는 12개의 동물로 상징되는 요소로 구성
각각의 십이지는 특정한 시간과 계절, 그리고 성질을 나타냄. 


  1. 자(子): 쥐, 양(陽), 겨울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2. 축(丑): 소, 음(陰), 겨울의 중간을 의미합니다.
  3. 인(寅): 호랑이, 양(陽), 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4. 묘(卯): 토끼, 음(陰), 봄의 중간을 의미합니다.
  5. 진(辰): 용, 양(陽), 봄의 끝을 의미합니다.
  6. 사(巳): 뱀, 음(陰), 여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7. 오(午): 말, 양(陽), 여름의 중간을 의미합니다.
  8. 미(未): 양, 음(陰), 여름의 끝을 의미합니다.
  9. 신(申): 원숭이, 양(陽), 가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10. 유(酉): 닭, 음(陰), 가을의 중간을 의미합니다.
  11. 술(戌): 개, 양(陽), 가을의 끝을 의미합니다.
  12. 해(亥): 돼지, 음(陰), 겨울의 끝을 의미합니다.

 

 육십갑자는 십간과 십이지를 결합하여 60년 주기를 만들며, 이를 통해 특정한 해를 나타냅니다. 

육십갑자 순서

1. 자(甲子)
2. 축(乙丑)
3. 인(丙寅)
4. 묘(丁卯)
5. 진(戊辰)
6. 사(己巳)
7. 오(庚午)
8. 미(辛未)
9. 신(壬申)
10. 유(癸酉)
11. 갑술(甲戌)
12. 을해(乙亥)
25. 무자(戊子)
26. 기축(己丑)
27. 경인(庚寅)
28. 신묘(辛卯)
29. 임진(壬辰)
30. 계사(癸巳)
31. 갑오(甲午)
32. 을미(乙未)
33. 병신(丙申)
34. 정유(丁酉)
35. 무술(戊戌)
36. 기해(己亥)

49. 임자(壬子)
50. 계축(癸丑)
51. 갑인(甲寅)
52. 을묘(乙卯)
53. 병진(丙辰)
54. 정사(丁巳)
55. 무오(戊午)
56. 기미(己未)
57. 경신(庚申)
58. 신유(辛酉)
59. 임술(壬戌)
60. 계해(癸亥)





13. 병자(丙子)
14. 정축(丁丑)
15. 무인(戊寅)
16. 기묘(己卯)
17. 경진(庚辰)
18. 신사(辛巳)
19. 임오(壬午)
20 계미(癸未)
21. 갑신(甲申)
22. 을유(乙酉)
23 .병술(丙戌)
24. 정해(丁亥)

37. 경자(庚子)
38. 신축(辛丑)
39. 임인(壬寅)
40. 계묘(癸卯)
41. 갑진(甲辰)
42. 을사(乙巳)
43. 병오(丙午)
44. 정미(丁未)
45. 무신(戊申)
46. 기유(己酉)
47. 경술(庚戌)
48. 신해(辛亥)

육십갑자 사용

육십갑자는 고대 중국에서부터 사용되었으며,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도 채택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년, 월, 일, 시를 구분할 수 있으며, 특정한 시기와 사건을 기록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은 을사년(乙巳年)이며, 이는 60년 주기 중 42번째 해입니다. 2085년이 되면 다시 을사년이 돌아오게 됩니다.

이처럼 육십갑자는 천간과 지지를 결합하여 년도를 순환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출처 : pixabay